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전통시장 사회적 기업화 더 늘려야
정부가 전통시장에 사회적 기업 100곳을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시장 상인회 등이 주차장을 운영하거나,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을 배달하는 운송회사를 만들면 적극 지원하는 방식이다. 일정 요건을 갖춘 전통시장을 사회적 기업으로 선정해 지원하면 해당 시장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이런 정도의 숫자 가지고 전통시장 활성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전통시장 활성화는 역대 정권의 중요 정책과제였다. 전국 1550개 전통시장은 서민의 상징인 36만여 상인의 생계가 걸린 삶의 터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대형마트에 고객을 점차 빼앗겨 요즘은 대부분 고사 직전이다. 그동안 정부가 ‘전통시장 현대화’ 프로그램에 따라 적지 않은 자금을 지원했고, 점포 개량 등 시장 환경도 많이 개선했으나 효과는 미미했다. “시장에는 상인이 절반”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고객 발길은 여전히 뜸하다.

전통시장의 어려움은 무엇보다 상인들이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결과다. 대형마트가 들어설 때마다 핏대를 세우며 원망만 할 뿐 위기 극복 노력에는 소홀했던 것이다. 지금이라도 상인들 스스로 달라져야 한다. 찾아보면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 가령 인근 시장과 공동으로 산지 직거래 규모를 늘리거나 유통구조 개선 등 가격 경쟁력을 얼마든지 높일 수 있다. 50%도 안 되는 카드 거래 비율도 높여야 한다. 상인들이 카드 받기를 꺼리는 데 손님들이 마음 편하게 시장을 찾을 턱이 없다. 주변의 학교와 공공기관ㆍ기업을 찾아다니며 구내식당 식자재 구매와 명절 선물용품 판촉 활동도 열심히 벌이면 효과는 반드시 있다. 좋은 상품 구비와 환경 정화는 필수다.

상인들의 자구 노력과 함께 재계 등 사회의 애정과 관심이 전통시장 살리기의 출발점이다. 그런 점에서 엊그제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과 함께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이 서울의 한 재래시장을 방문한 것은 의미가 있다. 상품권 구매를 늘리겠다는 약속도 반갑지만 재계가 전통시장 문제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기업들이 솔선하면 전통시장 문제는 한결 풀어가기 쉽다. 사업장 주변 재래시장에서 식자재 등 각종 물품을 고정 조달하고, 보너스 일부를 시장 상품권으로 지급하면 그야말로 상생이 된다. 특히 대형마트를 운영하는 기업은 전통시장과 공동 이벤트 개최, 영업시간 조정 등 상생방안을 진지하게 고민하기 바란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