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올 하반기 저축은행 2차 구조조정…칼날은 어디로
2차 저축은행 구조조정의 윤곽이 드러나면서 퇴출 후보군을 둘러싼 저축은행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올 반기 8개 저축은행이 영업정지됐고, 하반기 적어도 2~3개 수도권 저축은행이 추가로 문을 닫을 것으로 전망이 나오고 있다.

금융감독당국은 저축은행 구조조정의 연착륙에 집중할 계획이다. 자칫 ‘뱅크런(대량 예금인출)’이 재연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예금보험공사 등 금융당국이 참여한 ‘저축은행 구조조정 태스크포스(TF)’는 2~3일 간격으로 회의를 열고 있다.

최근 TF는 저축은행 전담 인력을 보강하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이 많거나 부실화할 가능성이 있는 저축은행에 대한 스트레스테스트를 진행할 것으로 29일 전해졌다.

TF의 한 고위 관계자는 “저축은행 업계의 ‘뇌관’으로 꼽혔던 부산저축은행그룹이 정리됐지만 PF 비중이 크거나 대출 연체와 예금 이탈이 많은 곳을 중심으로 후유증이 만만치 않다”고 설명했다.

저축은행 문제가 정치적ㆍ사회적 사안으로 확대되면서 사태는 더 어렵게 흐르고 있다.

지난달까지 2조원을 넘는 예금이 저축은행을 이탈해 은행, 우체국 등으로 흘러들어갔다는 게 업계의 추정이다. 저축은행은 만기 예금 재유치 실적도 현저히 떨어지고 있고, 자금을 운용할 곳 역시 마땅치 않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나마 이달 초 저축은행 10곳이 유사 시에는 1000억원씩 총 1조원의 자금을 마련해 뱅크런 위기에 직면한 곳에 지원하기로 약속하며 나름대로 안전망은 구축해놨다. 하지만 구속력이 없는 협약인데다 저축은행중앙회도 매월 수억원씩 비용이 발생하는 시중은행과의 크레디트라인(신용공여한도)을 두지 않기로 해 불안감은 남아 있다.

저축은행 업계를 둘러싼 환경이 점점 열악해지고 있어 구조조정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영업 대부분을 부동산 PF 대출에 ‘올인’한 곳이 상당수여서 부동산 경기의 장기 침체는 이들 저축은행의 부실로 직결될 수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오는 12월부터는 사후정산 방식으로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매각한 부동산 PF 부실채권을 되사야 하는 부담도 안고 있다.

한 당국자는 “올 12월 말 되사야 하는 규모는 3000억원으로 비교적 크지 않지만, 내년 3월엔 1조2000억원어치를 되사야 한다”며 “내년 초까지 저축은행업계의 고난이 계속될 것 같다”고 분석했다.

<윤재섭ㆍ윤정현 기자 @donttouchme01>

hi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