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반도 전체로 방사성 물질 확산
제논에 이어 서울에서 방사성 물질인 방사성 요오드, 세슘까지 검출되면서 국민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제논과 달리 이들 물질은 인체에 피해를 줄 수 있는 대표적인 방사성 물질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 특히 강원도에 이어 전국으로 방사성 물질 유출 지역이 확대되면서 불안감은 더해지고 있다.

29일 한국원자력기술원(KINS)에 따르면, 지난 28일 오전 10시부터 24시간동안 전국 12개 지방방사능측정소에서 공기 중 부유물질을 포집해 분석한 결과, 전국 모든 지역 측정소에서 방사성 요오드가 검출됐다. 춘천에선 방사성 요오드와 함께 세슘도 검출됐다. 윤철호 KINS 원장은 “각각 검출된 양이 일반인 연간 선량한도 1mSv의 20만~3만분의 1, 8만분의 1 수준으로 극미량에 속한다”고 밝혔다.

KINS가 운영하고 있는 전국 12개 지방방사능측정소는 1.2m 높이, 즉 사람이 일상생활을 하는 공간과 비슷한 높이에서 필터를 이용해 공기 중 부유물질을 포집, 방사성 물질 여부를 검사하고 있다.

방사성 요오드는 몸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일반 요오드와 달리 우라늄, 플루토늄 등이 핵분열할 때 생성되는 물질로 몸에 악영향을 미친다. 호흡을 통해 몸 안으로 들어와 갑상선에 모이며, 갑상선에 결합한 방사성 요오드는 감마선이나 베타선을 방출한다. 때문에 몸 속 장기가 방사성 물질에 노출된다. 세슘은 반감기가 30년에 이를만큼 한번 체내에 흡입되면 잘 배출되지 않으며 암 등을 유발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다만 현재까지 파악된 방사성 물질의 양이 미미한 수준인 만큼 전문가들도 방사성 물질이 국내에 들어와도 걱정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입을 모은다. 윤철호 KINS 원장은 “현재 검출된 양으로 볼 때 마스크 착용 등 생활에 어떤 변화도 줄 필요가 없는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KINS는 세슘 및 방사성 요오드의 이동경로가 제논과 같이 북극을 거쳐 들어온 경로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기상청 측은 “당시 기류의 흐름을 보면 폴라제트(polar jet)라는 순환을 거쳐 북극 등을 통해 국내로 들어오는 것”이라며 “지구 한 바퀴를 도는가, 짧게 도는가의 차이일 뿐 크게 보면 모두 같은 편서풍의 영향권 내에 있다”고 밝혔다.

전국적으로 방사성 요오드가 검출된 것과 달리 세슘이 춘천 지역에서만 나온 이유는 아직 명확하게 분석되지 않았다. 다만 제논은 불활성 기체이기 때문에 방사성 요오드나 세슘 등보다 가장 멀리 퍼질 수 있고, 세슘이 상대적으로 방사성 요오드보다 확산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일부 지역에만 세슘이 검출된 것으로 KINS 측은 추정하고 있다. 윤철호 KINS 원장은 “국지적인 기상조건 등에 따라서도 바뀔 수 있기 때문에 명확한 이유는 좀 더 분석해봐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KINS는 추가로 수도권에 내린 비를 채취해 분석 중이나, 시료 양이 부족해 시간이 다소 소요될 전망이다. 또 일본 원전에서 플루토늄이 유출된 것과 관련, 플루토늄이 원소 특성상 무겁기 때문에 확산이 멀리 되지 않다는 점을 감안, 상황을 지켜본 뒤 필요에 따라 시료 분석에 들어갈 계획이다.

인체에 피해를 주기 힘든 제논과 달리 암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방사성 요오드나 세슘은 요주의 대상이다. 일단 미량이나마 검출된 만큼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다. 한 전문가는 “과도한 불안감을 조성하는 것도 문제지만 문제가 없다는 식으로만 일관하면 자칫 국민에게 불신감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편서풍을 타고 뒤늦게 도착하리란 예상과 달리 북극을 도는 ‘단거리 행보’로 방사성 물질이 유입되고 있고, 방사성 영향권에 들지 않으리란 발표와 달리 실제로 방사성 물질이 연이어 검출되면서 국민의 혼란과 불안은 가중되고 있다. 윤철호 KINS 원장은 “국내 방사선 측정기의 측정능력은 세계적인 수준을 갖추고 있다”며 “정확하게 분석한 결과만을 발표하기 위해선 공학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니 중간 과정에 혼란을 느끼지 말고 정확한 발표를 기다려달라”고 강조했다.

한편, 제논은 지난 26일 최대치를 나타낸 이후 12시간 간격으로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KINS 측은 제논이 기상 변화로 인해 처음 이동했던 경로보다 멀리 돌아오는 경로로 바뀐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김상수 기자 @sangskim>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