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소말리아 피랍 빈발, 회사 책임 크다
부산 선적의 화학물질운반선 삼호주얼리호가 또 소말리아 해적에게 납치됐다. 이 배에는 선장을 비롯 8명의 한국인 등 21명의 선원이 타고 있다. 소말리아 해적에게 한국 선박이 납치된 것은 2008년 이후 벌써 다섯 번째다. 지난해 10월 납치된 원양통발어선 금미305호와 선원들은 아직 억류돼 있고, 원유운반선 삼호드림호는 풀려난 지 겨우 두 달밖에 지나지 않았는데 또 이런 일이 일어났다. 우리 군함까지 파견해 지키고 있지만 그야말로 속수무책이다. 언제까지 이렇게 당해야 하는지 안타깝고 답답하다.
우리 선박들이 번번이 당하는 것은 해당 지역 통행량이 많고, 인질 몸값을 후하게 내주기 때문이다. 실제 우리나라 전체 해상물동량의 30%가량이 소말리아 해적 활동 해역을 통과하고 있다. 유조선과 화물선, 원양어선이 많아 그만큼 해상 납치의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이다. 한국 배와 인질의 비싼 몸값이 해적을 불러들인다는 지적도 있다. 지난해 삼호드림호 석방 교섭 때 무려 900만달러 이상 거액을 지불했다는 소문이 파다한 상태다. 일반 협상액의 20배가 넘는 수준으로 이 소문이 해적들을 자극, 한국은 잘살고 돈을 잘 주는 나라로 각인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피랍 방지를 위해 지난 2009년부터는 청해부대와 군함을 보내 항해 선박을 보호하고 있지만 실효성은 떨어진다. 해적을 추적해 따라잡아도 인질들의 안전 때문에 공격이 쉽지 않고, 군함이 지키는 길목에서 수천㎞ 떨어진 먼 바다에서 사고가 일어나 기민한 대처가 어렵다. 이번에도 우리 군함이 피랍 상황을 인지하고 따라붙었지만 인질을 구하기 쉽지 않아 보인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운항 선박 자체적으로 보안요원을 고용하라고 하나 부담이 크다. 그렇더라도 한 회사 배가 연속 피랍되는 것은 이상하다. 일차적 책임은 선박회사에 있다. 사고가 나면 거액 몸값 등 석방교섭에 정부가 나서는 것은 당연하나 언제까지 그럴 수 없다.
정부도 물론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청해부대로 역부족이면 연간 500회 이상 통행을 제한시켜야 한다. 특히 피랍 다발 업체의 사고 해역 통과는 사전에 보고받아야 한다. 국제사회의 단호한 법적 군사적 공동 대처도 시급하다. 40여개국 해군이 참여하는 연합해군사령부(CMF)는 해적의 근거지를 확인할 경우 선제적 공격이 필요하다. 국제법상 문제가 있다지만 해적들은 엄연한 테러집단이다. 법이 이들을 보호하고 있다는 것은 난센스임을 알려야 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