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하루 전인 10일 한화와 서울시는 신종플루를 우려해 올해 불꽃축제 취소를 결정, 발표한 터였다. 지난 3일 서울시로 ‘연인원 1000명 이상 참석, 이틀 이상 행사는 가급적 취소하고 불가피한 경우에는 행사를 연기하거나 규모를 축소하라’며 이를 따르지 않을 경우 재정지원 축소 등을 취하겠다는 내용의 정부 공문이 날아든 뒤 일주일 동안의 고민 끝에 내린 결정이었다. 서울시측은 취소 결정 몇시간 전만해도 서울시 판단이 전국 지자체에 미칠 파급을 우려해 행사를 여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지만 정부의 입김을 무시하진 못했다.
![]() |
하룻만에 한화는 약 15억원을 고스란히 잃었다. 전국에서 상경하는 불꽃 마니아 인구와 행사 개최지인 여의도 한강시민공원 주변 상권에 미칠 경제적 효과 등을 감안하면 서울시로서도 적잖은 손해를 봤다. 한화 관계자는 “이미 중국팀 초청 등 행사준비에 비용이 지급됐다”며 안타까워했다.
한화 측은 또 행사 취소를 번복할 지에 대해선 “이미 전국에 발표한 마당에 어떻게 다시 하겠다고 하느냐”며 “과거 북한 핵실험 때는 하루전에 취소해야했고, 이번 취소가 처음도 아니다”며 애써 위로했다.
지난 2001년 9ㆍ11 테러, 2006년 북한 1차 핵실험 사태 당시에는 국가 전체적인 위기감과 애도 분위기 속에서 불꽃놀이가 격에 맞지 않아 취소된 바 있다.
한지숙 기자(jsha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