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돈만 썼지 뭘 얻었나”…통합당 “장외집회만은 안 한다”
통합, 지난해와 달리 장외집회 ‘선긋기’
협상 여의치 않은데도…여론 역풍 우려
‘버스 동원력’도 한계…“원내 정책 경쟁”
지난해 9월 당시 황교안 자유한국당(미래통합당 전신)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가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문재인 정권 헌정 유린 중단과 위선자 조국 파면 촉구’ 대규모 장외집회에 참석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 미래통합당이 29일 근 2주일째 국회 의사 일정 보이콧을 이어가는 와중에도 장외집회 가능성을 놓고는 단호히 선을 긋고 있다. 자유한국당(통합당 전신) 때의 ‘투쟁 트라우마’에 따른 것이다.

통합당 관계자는 29일 "원 구성을 놓고 이리저리 끌려다닐 수밖에 없는 게 과거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사태’와 오버랩되는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한국당 때처럼 밖으로 나가는 것은 정부여당이 환영할 일로 보고, 일단은 국회 안에서만 싸울 방침”이라고 밝혔다.

통합당은 무엇보다 대규모 장외집회가 여론의 역풍을 불러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협상력이 떨어지니 또 국회를 박차고 나왔다는 비판만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앞서 통합당은 황교안 체제의 한국당이었을 때 문재인 정권의 정책 전환 촉구, ‘조국 사태’ 등을 명분으로 거듭 장외집회를 개최했다. 당시 한국당은 ‘동원 집회’(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 ‘아스팔트 중독’(당시 이인영 민주당 원내대표) 등 비판에 노출됐다. 지지율 상승은 미미했다. 되레 수위를 넘나드는 돌출 발언으로 진땀을 빼기도 했다. 통합당 관계자는 “그때도 억울해서 어쩔 수 없이 거리로 뛰쳐나간 것이지만 중도 진영의 호응이 기대만큼 크지 않았다”며 “민주당의 교묘한 프레임 공격에 대응하는 일 또한 만만치 않았다”고 설명했다.

비용도 부담이다. 대규모 장외집회를 한 번 열기 위해서는 당 금고에서 수천만원을 빼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소 수만명이 집결할 수 있는 무대를 설치·운영하기 위해서다. 통합당은 한국당 시절에도 이에 따른 자금난으로 중앙당 후원회와 재정위원회를 긴급 가동한 바 있다. 통합당 관계자는 “당의 자금 상황은 한국당 때와 비교해 별반 나아진 게 없다”며 “21대 총선 참패로 인해 미래도 밝지만은 않다”고 했다.

미래통합당 소속 의원들이 참석하는 정책세미나인 ‘사이다’가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가운데 주호영 원내대표와 정진석 의원을 비롯한 참석 의원들이 사이다 음료를 들고 밝게 웃고 있다. 이번에 열린 정책세미나 ‘사이다’의 이름은 ‘사’회문제와 ‘이’슈를 ‘다’함께 해결하겠다는 의미에서 ‘사이다’라고 지어졌다. [이상섭 기자/babtong@heraldcorp.com]

지금 상황에선 이를 모두 감수하고 장외집회를 연다 해도 흥행을 확신할 수 없다. 통합당 의원 103명 중 58명이 비교적 지역 기반이 약한 초선 의원이어서 ‘버스 동원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한 재선 의원은 “현재 비상대책위원회도 장외집회만은 피해야 할 카드로 보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결국 원내에서 정책 경쟁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했다.

한편 통합당 일각에선 대규모 장외집회 대신 ▷1000만명 서명운동 ▷지역별 100명 안팎의 소규모 집회 등을 검토해야 한다는 말도 꾸준히 돌고 있다.

한 중진 의원은 이에 대해 “원내에서 손 놓고 당할 수만은 없다”며 “국민에게 민주당의 ‘일당 독재’를 호소할 수 있는 홍보 전략은 치열히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또 다른 의원은 “저항할 때 제대로 저항하지 않아 ‘여당 2중대’란 낙인이 찍힐까봐 염려된다”고 했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