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도발에…국제사회는 규탄 vs 우리 정부는 신중
북한 미사일발사에 온도차, 왜?
北 “선회기동 1000㎞ 목표 명중”
김여정도 동행…이례적 참관
美, 안보리결의 위반 책임 거론
文정부는 ‘대화 모멘텀’ 등 견지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국방과학원이 11일 극초음속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북한은 전날 자강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미사일에 대해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극초음속미사일을 시험발사한 것이라고 12일 밝혔다.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북한의 잇단 탄도미사일 시험을 규탄하면서 우려를 표명했다. 특히 미국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이 아님에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 책임을 거론하며 대북압박 수위를 높였다.

▶김정은 참관, 北 기술적 자신감 표시=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김정은 동지께서 11일 국방과학원에서 진행한 극초음속미사일 시험발사를 참관했다”며 “시험발사는 개발된 극초음속무기체계의 전반적인 기술적 특성들을 최종확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됐다”고 보도했다. 이어 김 위원장이 지켜보는 가운데 “새벽 하늘의 고요와 미명의 장막을 밀어내며 주체무기의 발사폭음이 천지를 뒤흔들고 화광이 대지를 뜨겁게 달구는 속에 강위력한 조선의 힘의 실체가 하늘로 솟구쳐 올랐다”면서 “발사된 미사일에서 분리된 극초음속활공 비행전투부는 거리 600㎞ 계선에서부터 활공재도약하며 초기발사 방위각으로부터 목표정방위각으로 240㎞ 강한 선회기동을 수행해 1000㎞ 수역의 설정표적을 명중했다”고 밝혔다.

앞서 합동참모본부가 전날 공개한 700㎞보다 비행거리가 늘어난 것이다. 합참은 북한이 내륙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미사일에 대해 비행거리 700㎞ 이상, 최대고도 약 60㎞, 최대 속도 마하 10 내외로 분석했다. 마하 10은 서울 상공까지 1분이면 도달 가능한 속도다.

북한의 극초음속미사일 시험발사는 작년 9월과 지난 5일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북한 관영매체가 공개한 사진을 보면 이번에 쏜 미사일은 탄두부가 원뿔모양으로 작년 9월 ‘화성-9형’이 아닌 지난 5일 발사한 것과 같은 형상이다. 북한은 작년 10월 국방발전전람회 때 신형 기동식 재진입체(MARV)를 공개한 바 있다.

북한의 극초음속미사일은 기존 탄도미사일 추진체계를 기본으로 액체연료를 용기에 담아 앰풀(ampoule)화하고 탄두부에 극초음속 활공비행체를 탑재하는 형태로 보인다. 신문이 공개한 대로라면 북한의 극초음속미사일은 발사 후 600㎞ 지점에서 활공비행체가 분리돼 활강하면서 240㎞ 가량을 요격을 회피하기 위한 활강기동을 하고 최종적으로 1000㎞를 비행했다고 볼 수 있다.

신문은 특히 “최종시험발사를 통해 극초음속활공 비행전부투의 뛰어난 기동능력이 더욱 뚜렷이 확증됐다”고 밝혀 극초음속미사일 개발이 막바지 단계에 이르렀음을 시사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집권 이후 김 위원장의 무기체계 시험 참관 패턴을 보면 최종 완성단계나 기술적으로 최종확증단계에서 참관해왔다”며 “이번 김 위원장의 참관은 개발부서의 자신감과 북한 지도부의 기술적 자신감을 피력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홍 위원은 이어 “북한이 제원을 설명하면서 활공재도약, 선회기동, 기동능력 등 극초음속활공비행체의 특징을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극초음속활공비행체 여부에 대한 외부의 의구심과 시선을 의식해 기술적 확증을 보여준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 김여정 당 부부장이 무기체계 시험발사 현장에 동행했다는 점도 이례적이다.

▶美 “추가 도발 중단…우리 무기고 도구 많아”=북한이 연초부터 연이어 극초음속미사일 시험발사에 나서면서 국제사회의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11일(현지시간) 북한의 잇단 미사일 발사에 대해 “매우 우려스럽다”고 밝혔다고 스테판 두자릭 유엔 대변인이 전했다. 구테흐스 총장은 그러면서 한반도 당사국들의 대화 재개를 촉구했다.

미국은 보다 직접적으로 규탄의 목소리를 높였다. 젠 사키 미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우리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한다”고 밝혔다. 사키 대변인은 이어 “이번 일이 미 국민이나 영토, 동맹에 대한 즉각적인 위협은 아니라고 판단한다”면서도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여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 위반이며 이웃나라와 국제사회에 대한 위협”이라고 지적했다.

미 국무부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우려를 표하면서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 책임 추궁 등 대북 압박 수위를 올렸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북한과 전제조건 없는 대화와 외교가 최선의 방안이라면서도 “우리의 무기고에는 많은 도구가 있다”며 “우리는 이 같은 도구들을 계속해서 이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예를 들어 북한의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 등에 대해 책임을 물을 수 있을 것”이라며 “다만 현 단계에서 어떤 것도 예단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한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가 지난 5일 유감 표현 없었던 것과 달리 11일엔 강한 유감이라는 표현을 써가며 수위를 올리긴 했지만 북한과 대화 재개와 협력에 초점을 맞춘 것보다 강경한 기류다. 한국은 미국이 일본과 유럽 국가들과 북한 미사일 도발을 규탄한 안보리 회의 전 성명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외교부는 이에 대해 한반도 정세의 안정적 관리와 대화 재개를 위한 모멘텀 유지 필요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신대원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