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고체연료 우주로켓 2024년 발사”…남북 미사일 개발 경쟁 ‘가속’
韓, 소형위성 고체엔진 우주로켓 2024년 발사 목표
北, 미사일 플랫폼 다양화…철도미사일 연대 ‘여단’ 확대 시사

우리나라가 독자 개발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이 15일 도산안창호함(3천t급)에 탑재돼 수중에서 발사되고 있다. 이날 발사시험은 국방과학연구소 종합시험장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정부와 군의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뤄졌다. SLBM은 잠수함에서 은밀하게 운용할 수 있으므로 전략적 가치가 높은 전력으로 평가된다. 현재 미국,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 인도 등 6개국만 운용하고 있는 무기체계로, 한국이 세계 7번째 SLBM 운용국이 됐다.[연합]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남북 간 미사일 개발 경쟁에 불이 붙었다. 북한의 열차를 활용한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와 한국의 첫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잠수함 발사시험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이뤄지면서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남북한의 미사일 개발 경쟁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정부는 16일 미국과 러시아, 중국, 유럽, 일본, 인도와 함께 ‘7대 우주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 아래 독자 개발한 고체연료 엔진을 탑재한 우주로켓을 2024년 발사한다는 구상을 발표했다. 국방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공동보도자료를 통해 “고체 우주발사체의 주요 구성품들을 검증하고 통합해 2024년께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한국 독자 기술 기반의 고체 우주발사체를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국방과학연구소(ADD)는 지난 7월 29일 우주발사체용 고체 추진기관(엔진) 연소 시험에 성공한 바 있다. 이번에 시험한 엔진은 향후 소형위성 또는 다수의 초소형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올리는 우주발사체의 추진기관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다만 정부는 “지금까지 한미 미사일지침에 따라 개발이 제한됐던 고체 우주발사체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확보한 것”이라며 “국방 우주전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혀 군사적 활용 가능성도 열어뒀다.

한국은 전날엔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충남 안흥 ADD 종합시험장에서 SLBM 발사시험을 진행했다. 도산안창호함(3000t급)에서 발사된 SLBM은 콜드론치와 부스터와 메인추진기관까지 점화돼 남쪽으로 400㎞가량 날아가 목표물에 명중했다. 국방부는 이날 SLBM과 함께 KF-21 보라매에 탑재될 장거리 공대지미사일 시험도 실시했으며, 북한이 최근 시험발사한 장거리 순항미사일보다 2.5~3배 정도 빠른 것으로 알려진 초음속 순항미사일과 탄두 중량을 크게 늘려 ‘괴물 미사일’로 불리는 고위력 탄도미사일 개발도 공개했다.

이미 ‘미사일 강국’으로 평가받는 북한도 지속적인 미사일 능력 고도화를 공언하고 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6일 전날 평안남도 양덕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에 대해 제8차 당대회 결정에 따라 신설된 철도기동미사일연대의 검열사격훈련이었다고 보도했다. 이날 발사된 미사일은 지난 3월 발사했던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리는 KN-23으로 파악됐다. 북한이 열차에서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는 장면을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통신은 특히 이른 시일 안에 철도기동미사일연대의 실전운영 경험을 쌓아 철도기동미사일여단으로 확대개편할 것임을 시사하며 미사일 개발 야심을 감추지 않았다. 북한이 최대 후원국인 중국의 왕이 외교부장 방한 기간 미사일을 발사한 것을 두고 중국 눈치를 보지 않고 ‘마이웨이’를 가겠다는 의미라는 해석도 나온다.

9.19 남북군사합의 3주년을 코앞에 두고 남북이 ‘우리 민족끼리’ 미사일 개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셈이다. 남북 간 미사일을 둘러싼 언술도 위험수위를 넘나들고 있다. 문 대통령은 SLBM 발사시험을 지켜본 뒤 “우리의 미사일 전력 증강이야말로 북한의 도발에 대한 확실한 억지력이 될 수 있다”고 했다. 북한도 김여정 당 부부장 담화를 통해 문 대통령의 언급에 대해 “부적절한 실언”이라면서 “한 개 국가의 대통령으로서는 우몽하기 짝이 없을 것”이라고 비난했다. 북한이 ‘남조선 당국자’나 ‘남조선 집권자’가 아닌 ‘문재인 대통령’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 역시 이례적이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