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씨네;리뷰] ‘나랏말싸미’ 우아한 메시지…빈틈이 보이는 서사
이미지중앙

사진제공=메가박스 플러스엠


[헤럴드경제 스타&컬처팀= 함상범 기자] 현재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한글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이 역사적 사실에 역사가들의 해석은 다양하다. 그런 가운데 전 세계 문자 중 가장 뛰어난 문자라는 평가를 받는 한글의 탄생 배경을 담은 영화 ‘나랏말싸미’가 베일을 벗었다.

이 영화는 세종대왕의 큰 업적으로만 알려진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이자 문자 ‘한글’에 대한 깊은 조명이 담긴 작품이다. 한글이 창제과정 내에서 설왕설래가 많은 가운데 조철현 감독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만들 때 신미 스님의 도움을 받았다는 가설을 선택해 상상력을 가미했다.

정극을 기반으로 하지만 현대어가 적지 않게 들어가며, 전체적으로 무거운 분위기에 숨통을 틔우려는 흔적이 많이 보인다. 송강호가 세종대왕을, 박해일이 신미 스님을, 故 전미선이 소헌왕후를 연기한 이 영화는 한글 창제의 다각적인 시각과 모든 인간을 존중해야 된다는 가치 등 메시지적인 면에서는 의미 있게 화두를 던지나, 오락성이나 상업성 면에서는 분명 부족한 지점이 있다.

‘나랏말싸미’는 한글창제 과정에서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신하들의 암투나, 모략을 거세하고, 철저한 고증만을 거쳤다. 소리 글자와 뜻 글자의 차이를 시각화해서 설명하는 부분은 이 영화만의 미덕이다. 영화 중반까지 한글 창제 과정에서 신미 스님과 세종대왕의 유교 중심적인 신념과 불교 중심적인 신념의 충돌, 그 사이에서 둘을 중재하는 소헌왕후의 리더쉽은 긴장감을 준다.

모든 인간이 지식을 갖고 사대부에만 몰려 있는 권력을 나누고자 하는 세종대왕과 모든 이들이 부처의 진리를 깨닫길 바라는 신미의 사상 역시 현 시대를 살아가는 관객들에게 의미 있는 메시지를 던진다.

그 사이에서 인자하면서도 병약하고, 기득권에 맞서면서도 유연하게 대처하는 새로운 이미지의 세종을 만든 송강호의 연기와 그에 맞서는 강직한 신미를 표현한 박해일, 무게감 있는 연기를 펼친 전미선은 이 영화의 분명한 강점이다.

‘나랏말싸미’는 빠른 호흡의 우당탕탕 싸워대는 범죄 영화에 질린 관객들에게는 신선한 작품이 될 수 있다. 사대부들이 고려 불교처럼 권력을 마구잡이로 사용할 것을 우려한 세종의 통찰력은 현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권력의 의미를 되짚어보게 만든다. 많은 교수들과 논의 끝에 대본을 썼다는 조 감독의 고심은 소위 ‘역사 덕후’들에게 반길만한 작품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묵직하게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전달하는 ‘나랏말싸미’는 오락성이 떨어진다. ‘관상’처럼 폭발적인 웃음을 주지도 않고, ‘사도’처럼 강한 긴박감을 주지도 못 한다. 마치 다큐멘터리 같은 전개로 인해 다소 늘어지는 감이 있다.

후반부 유교 중심 국가인 조선에서 이단이나 다름없는 불교를 억제하는 ‘억불정책’이 이어지는 과정과 죽은 소헌왕후의 천도제를 지내기까지의 갈등, 그리고 천도제로 마무리 되는 부분까지, 플롯의 높낮이 없이 평이하게 진행된다. 만듦새가 안정적이고 좋은 의미를 지닌 작품에 그친다. 몇 차례 숨통을 트는 장면을 삽입하기는 했으나, 전반적으로 무거워 오락성이 지극히 떨어진다.

배우들의 열연에 기댄 서사도 감점 요소다. 110분을 끌고 가기엔 갈등 요소가 적다. 권력을 유지하고자 하는 유자들의 사대 정신과 조선만의 주체성을 갖고자 한 세종대왕이 충돌하는 지점을 한글의 대중화와 억불정책으로만 표현한다. 비슷한 장면이 연속되는 서사를 배우들의 힘 있는 연기로 메웠긴 하나, 빈틈이 적지 않게 보인다.
cultur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