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획; 아이돌 ‘마의 7년’①] 불가피한 해체…3가지 요소 때문에 피할 수 없다
이미지중앙

사진제공=스타쉽 엔터테인먼트



[헤럴드경제 스타&컬처팀=이채윤 기자] 아이돌 생명은 7년이 고비다. 이 시기에 접어들면 해체하는 팀들이 속속 등장한다. 때문에 ‘마의 7년’ ‘7년 차 징크스’라는 말까지 생겼다.

매년 평균 아이돌 그룹 4~5팀이 해체 소식을 알린다. 인지도가 낮아 해체 소식조차 알려지지 않은 그룹까지 포함하면 10여 팀이 넘을 수 있다. 방식은 다양하다. 내부 갈등으로 인해 7년을 다 못 채우고 갈라서는 팀도 있고, 7년을 채워 유종의 미를 거두고 이별하는 경우도 있다.

아이돌이 활동 7년차에 접어들면서 해체하는 본질적인 이유는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제시한 계약서 때문이다. 2000년대 초, 1세대 아이돌의 노예 계약 문제가 드러나면서 공정거래위원회는 기획사와 연예인의 전속계약이 최장 7년을 넘지 못한다는 내용 등이 포함된 표준 전속 계약서를 새롭게 재정했다. 이에 많은 아이돌 그룹은 7년이 되면 해체 또는 그룹 활동을 지속할지 두 갈림길에 서게 된다.

이미지중앙

사진제공=JYP엔터테인먼트



계약서뿐만 아니라 멤버들 간의 차등화 된 인기 요인도 무시할 수 없다. 멤버 전체가 고르게 인기가 있으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특정 한 두 명에게 인기가 집중되는 일이 대부분이다. 인기가 가장 많은 멤버들은 그룹을 대표해서 따로 방송 활동을 하거나, 더 나아가 연기자로 전향하기도 한다. 그룹 활동보다 개별 활동에 집중하면서 팀의 정체기가 오고, 수익 배분의 문제를 낳는 것이다.

한 대형 기획사 관계자는 “연습생 계약서와 데뷔할 때 계약서가 따로 있다. 연습생 기간이 길면 결국 10년 넘게 한 소속사에 머물게 되는 것”이라며 “사실 계약서의 의미에 중점을 두기보다 성공에 초점을 맞춘다. 결국 성공하지 못하면 다 무의미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랜 기간 그룹이 활동하다보면 음악적 성향이라든지 팀의 방향성에 대한 충돌이 생기기도 한다. 그래서 안 맞으면 탈퇴하는 일이 빈번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수익 배분에 대해서는 “대부분 처음에는 1/N로 한다. 그러다가 개인 활동으로 인해 수입의 차등이 생겨서 계약서를 수정해달라고 하면 그의 뜻에 따른다. 하지만 그보다 앞서 멤버들 간의 합의가 먼저 이뤄진다”며 “그 부분에 있어서 문제가 생기면 갈등이 생기기도 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cultur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