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뷰] 격동의 시대 담은 ‘1987’, 2017년도 울린다(종합)
이미지중앙
[헤럴드경제 스타&컬처팀=남우정 기자] ‘1987’이 영화를 만든 감독까지 울리며 실화 영화의 힘을 보여줬다.

13일 오후 서울 용산구 CGV용산에서 진행된 영화 ‘1987’ 언론시사회에 김윤석, 하정우, 유해진, 김태리, 박희순, 이희준, 장준환 감독이 참석했다.

‘1987’은 고(故)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다룬 실화 소재 영화로 한 대학생이 경찰 조사 도중 사망하고 사건의 진상이 은폐되자 진실을 밝히기 위해 용기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뤘다. 격동의 시간이었던 1987년을 철저한 고증을 통해 완성했고 사실적 접근이 오히려 더 깊은 울림을 준다. 오는 27일 개봉.

▲ 영화를 본 소감은?

“옆에서 하도 훌쩍여서 나도 눈물을 참을 수 없었다. 이런 걸 자뻑이라고 하죠? 비록 상업영화지만 진짜 진심을 다해서 87년도에 양심의 소리를 내시고 길에서 싸우고 땀 흘리고 피 흘린 그분들을 생각하며 만든 영화다(장준환 감독)”
“추운 날씨지만 영화를 본 지금은 몸에 열이 오를 것 같다. 박처장 역을 맡았는데 내가 맡은 배역을 내가 미워할 줄 몰랐는데 미운 모습이 떠오른다(김윤석)”
“이 자리가 시시회가 아닌 법정처럼 느껴진다. 죄인이 된 느낌이다(박희순)”

이미지중앙
▲ 무게감이 있는 소재를 상업영화로 만들 때 고민이 많았을 것 같은데?

“상업은 뭔가를 파는 것인데 파는데도 여러 태도가 있다고 생각한다. 어차피 큰 돈이 들어가는 상업영화의 틀을 가질 수 밖에 없다면 진짜 정성이 담긴 상품을 만들어보자고 생각했다. 관객의 입맛에 안 맞을수도 있겠지만 중요한건 이 작품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었다(장준환 감독)”

▲ 격동의 세대인 1987년을 왜 인물 드라마로 보여주고 싶었는가?

“포스터 카피에도 있지만 ‘모두가 주인공이었던 그 해’, 그걸 담고 싶었다. 온 국민이 대통령 직선제를 자각한 상태에서 의미가 있던 해다. 사실 난 요즘 그렇게 뜨겁지도 않고 순수하지도 않은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그런데 1987년을 바라봤을 때 그 사람들의 온기와 양심이 나한테도 많은 용기가 됐다. 그런 부분에서 모든 캐릭터가 다 주인공이 되는, 온 국민이 주인공이 된다는 걸 만들고 싶었다(장준환 감독)”

이미지중앙
▲ 왜 ‘1987’을 선택했나?

“시나리오의 초고부터 봤는데 과연 영화보다 더 영화같은 현실을 영화적 재미를 담아서 가치있는 작품으로 만들 수 있느냐에 대해 이야기를 많이 했다. 마지막 수정본을 보고 만족스러웠다. 나도 그 당시 대학생이었기 때문에 흔쾌히 하게 됐다(김윤석)”
“이 사건이 있었다는 건 알고 있었다. 1987년은 내가 초등학교 3학년 때인데 강 건너에서 대학교 형들이 뭔가를 하고 있는데 왜 수류탄 냄새가 날까 생각을 하며 하교했던 것 같다. 시나리오를 받았을 때 촘촘히 구성된 이야기가 놀라웠다. 어떤 시나리오보다 밀도가 높았다. 사실이기 때문에 재미라는 말을 하기도 어렵다. 충격적이어서 결정했다(하정우)”
“나도 밀도 있다는 생각을 했고 전달하려는 메시지가 명확했다. 마지막 부분을 읽었을 때 아픈 현대사를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희망을 보게 하는 시나리오라고 생각했다(유해진)”
“30년전 일이지만 현재도 이런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고 본다. 잊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해서 이 작품에 참여하고 싶었다. 이왕이면 용기 있는 시민의 역할을 하고 싶었지만 가해자 역할을 하게 돼 진심으로 사과하고 싶다(박희순)”

▲ 가장 어려운 역할을 맡았는데?

“처음 시나리오를 받은 배우가 나일 텐데 갈등을 많이 했다. 영화에 나오는 ‘탁치니까 억’이라는 대사를 제가 치게 될 줄 전혀 몰랐다. 난 그 대사가 일간지 신문 헤드라인으로 도배된 걸 본 세대다. 30년 뒤에 이 말을 내가 하게 될 줄은 몰랐다. 박종철 열사가 고등학교 선배다. 누군가 해야할 일이라면 고증에 최선을 다해보자 생각해 맡게 됐다(김윤석)”

이미지중앙
▲ 연희는 보통 국민의 마음을 대변하는 인물인데?

“처음 장준환 감독과 만났을 때 내가 시대를 대하는 생각을 먼저 물어보셨다. 그때 시간이 되는 한 매주 광장에 나가려고 노력하던 상태였다. 광장에 나갈 때 마음은 부정적이고 비관적이었다. 마지막 엔딩을 보고 마음 속에 있던 희망이 확 타오르는 느낌이었고 그게 관객에게 전달됐으면 좋겠다. 그 후에 희망을 봤다. 우리는 광장에 모여 이뤄낼 수 있는 사람들, 국민이라는희망을 느낄 수 있었다(김태리)”

▲ 무거운 영화 속에서 탄성을 주는 캐릭터는 의도한 설정인가

“남영동 아저씨들이 수직적이고 딱딱했다. 그것에 대항할 수 있는 것은 물렁함이라고 생각해 그렇게 연기했다. 장준환 감독과 상의해서 물렁함을 담았다(하정우)”

▲ 주연을 맡아도 어색함이 없는 배우들이지만 분량이나 배역이 적다

“배우들이 모두 참여해준 것이다. 장준환을 믿고가 아니라 이 이야기가 만들어져야 한다는 마음으로 참여했다고 생각한다. 다들 짧게 나오지만 누구 하나 잊혀지지 않고 인상 깊게 조각되도록 만들고 싶은 욕심이었다(장준환 감독)”
cultur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