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씨네;리뷰] 틀을 깬 ‘박열’, 유쾌하지만 우습지 않다
이미지중앙

[헤럴드경제 스타&컬처팀=남우정 기자] ‘박열’은 예상을 빗나갔다. 그 빗나간 예상이 전혀 기분 나쁘지 않다. 예상하지 못했던 서프라이즈 선물을 받은 것처럼 기쁘고 감동적이기까지 하다.

1923년, 관동대지진 이후 퍼진 괴소문으로 6000여 명의 무고한 조선인이 학살되는 간토대학살이 ‘박열’의 시작이다. 국제 사회의 비난을 피하기 위해 화제가 필요했던 일본내각은 불령사를 조직해 항일운동을 하던 조선 청년 박열(이제훈)을 대역사건의 배후로 지목한다. 박열은 일본 내각의 계략을 눈치채고 그들의 만행을 국제사회에 알리고자 스스로 황태자 암살 계획을 자백, 조선 최초의 대역죄인이 돼 공판을 시작한다.

감정적으로 애국주의를 호소하고 스스로 ‘국뽕’에 취했던 여느 시대극들과는 확연히 다르다. 전반적인 스토리만 보자면 그 안에 담긴 내용이 무겁고 심각할 것으로 보이나 ‘박열’은 이 과정을 진중하지만 유쾌하게 풀어낸다. 특히 예심판사인 다테마스 가이세이(김준한)과 박열, 가네코 후미코(최희서)의 심문 장면과 일본 내각의 본성이 드러나는 장면, 조선의 관복을 입고 재판장에 등장하는 박열의 모습에선 웃음이 자연스럽게 터진다.
이미지중앙

기존 시대극에서 절대 악으로 그려졌던 일본인들이지만 ‘박열’에서 입체적이면서 현실적이다. 박열을 두고도 의견이 엇갈리는 일본 내각 상황이나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를 만난 이후 제국주의에 대해 딜레마를 겪는 예심판사의 모습은 오히려 인간적이다.

비극적 역사를 유쾌하게 그려냈지만 ‘박열’은 우습지 않다. 그것은 완벽한 고증이 바탕이 됐기 때문이다. ‘사도’ ‘동주’ 등을 통해 실존인물을 그려내는데 일가견이 있는 이준익 감독은 ‘박열’에서도 진실의 힘을 보여줬다. 가네코 후미코의 자서전을 비롯해 신문, 기록물 등으로 고증된 역사는 있는 그대로 이야기가 되고 보는 이들의 마음을 움직인다.

이미지중앙

부드러운 밀크남 같았던 이제훈은 ‘박열’을 통해 변신을 시도했다. 이제훈은 거칠고 불량스럽지만 패기 넘치는 박열로 완벽하게 분했고 오랜만에 ‘파수꾼’ ‘고지전’에서 보여줬던 이제훈의 날카로운 눈빛을 다시 볼 수 있었다.

이제훈으로 ‘박열’의 문을 열었다면 영화가 끝나고 극장 문을 나설 땐 박열의 동지이자 연인인 가네코 후미코 역의 최희서가 뇌리에 깊이 남을 것이다. 최희서는 완벽한 일본어를 구사하는 것은 물론 신념으로는 박열에게 뒤지지 않는 여성을 멋있고 때론 사랑스럽게 표현했다. 가네코 후미코는 현 시대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능동적이고 강인한 캐릭터다. 같은 날 개봉하는 ‘리얼’이 여성 캐릭터를 노출과 남성의 장신구로만 소비하는 것과는 확연하게 다르다. 시대를 앞서나가는 가네코 후미코를 보는 것만으로도 카타르시스를 선사한다. 28일 개봉.

cultur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