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무비게이션] ‘밀정’ 김지운 왜 차가움 대신 뜨거움 선택했나
이미지중앙
[헤럴드경제 문화팀=김재범 기자] 누군가의 속내를 알아내야 한다. 어떻게 해야 할까. 방법은 두 가지 정도다. 폭력을 동원해 그 사람에게 고통을 주고 거짓이 적당히 섞인 실체를 얻어내는 방법이다. 물론 이 방법은 그것이 진실인지 아닌지에 대한 의구심을 품고 가야 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두 번째는 아이러니하게도 거짓을 동원하면 된다. 상대방에게 진심이라고 착각하게 만드는 거짓을 던지고 결국 진심을 얻어내면 된다. 영화 ‘밀정’ 속 의열단 단장 정채산(이병헌)은 조선인 일본 경찰 이정출(송강호)에게 역으로 이 방법을 던진다. 정채산이 언급한 이른바 반간계(反間計)다.

이정출은 의열단 수장 정채산을 잡기 위한 일본 경무국 소속 친일파 앞잡이다. 경무국 부장 ‘히가시’의 지휘아래 하시모토(엄태구)와 함께 정채산을 잡아야 한다. 시대는 일제 강점기다. 이정출은 자신의 친구 김장옥(박희순)에게 말한다. “독립이 될 것 같냐.”

누군가는 살기 위해 친일을 부여잡았던 시대다. 또 다른 누군가는 살아가기 위해 항일을 선택했던 격랑의 물결이었다. ‘밀정’은 살기 위해 선택을 한 사람들의 얘기다. 친일이 틀리고 항일이 맞다는 이분법적 논리가 ‘밀정’이 말하는 지점은 아니다. 결국 그럴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이 영화는 들어 있을 것이라 느끼고 보면 된다. 연출을 맡은 김지운 감독이나 주연 배우 송강호 모두 “누가 밀정이고 아니고의 얘기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그렇게 그어진 선이 맞는지 틀린지는 사실 관객들의 몫일뿐이지만 말이다.

이미지중앙
일제 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는 결국 한 가지다. 독립운동을 하던 항일과 일본 제국주의에 편승해 살기를 선택했던 친일의 대결이다. 일반적 개념의 선악구도다. 사실 이 지점을 스펙터클의 규모로 키워내서 역동성을 중심으로 풀어내면 영화 ‘암살’과 같은 기준의 결과물이 나오게 된다. 반면 인물간의 관계성에 시선을 주고 스토리를 풀어가게 된다면 ‘밀정’의 아우라를 품게 될 것 같다. 물론 ‘암살’ 속에서도 인물간의 관계성과 인물의 선택이 갖는 논리의 이율배반적 결과물이 등장하기는 했었다. 바로 염석진(이정재) 캐릭터가 그 모습이었다. 쉽게 말해 ‘밀정’은 ‘암살’ 속 염석진의 고뇌가 확장된 세계관을 담은 듯한 인상이다.

‘암살’ 속 염석진의 모습은 '밀정'의 송강호가 연기한 이정출이다. 그는 시작부터 친일과 항일의 경계선을 교묘하게 넘나들고 있었다. 분명 겉은 친일이다. 하지만 속내는 항일인지 그것도 아니면 그저 기회주의자일 뿐인지 모를 정도로 헷갈리는 모습이었다. 정채산을 잡기 위해 의열단의 꼬리를 잡은 이정출은 의열단 자금책 김우진(공유)에게 접근한다. 그는 처음부터 자신의 정체를 밝힌다. 김우진 역시 이정출이 일본 경찰인 것을 알면서도 그에게 자신의 정체와 계획을 털어 놓는다. 기묘한 관계다. 정채산이 언급한 ‘반간계’다. 적의 첩자를 역으로 이용해 우리편으로 끌어들인다. 사실 이 지점은 이정출도 마찬가지였다.

김우진 일행이 폭탄을 경성으로 운반하려는 일을 도우면서 결국 그들을 한꺼번에 일망타진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이정출과 김우진 모두 서로에게 반간의 작전을 세운 채 ‘누가 속이는 것이고 누가 속는 것인지’ 모를 상황 속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한다.

이미지중앙
이 과정은 스파이 장르의 그것을 따라가는 듯 유려하고 흥미롭고 세련됐다. 김지운 감독 특유의 스타일리시함이 장면 곳곳에 담겨 있고 풍긴다. 때로는 장인의 손길이 느껴지는 한 폭의 그림을 보는 듯한 착각마저 일으킨다. 그만큼 캐릭터의 관계 속 물고 물리는 ‘역전의 얘기’는 그렇게 긴장의 끈을 놓치지 않고 흐른다. 하지만 순간의 엇박이 한 호흡에서 미묘한 흔들림을 보인다.

영화 속 의열단 내 실제 ‘밀정’의 정체가 드러나고 반간의 계책 속에서 흔들리게 되는 이정출의 진심을 의심하는 하시모토의 시선이 집중하는 순간부터 ‘밀정’은 예상 밖 흐름을 탄다. 필연적으로 민족의식을 자극하던 기존 독립운동 소재 영화와 분명히 구분되는 흐름과 소재를 선택했던 ‘밀정’이 역으로 그 흐름을 끊어버린 것이다.

극중 이정출은 ‘암살’의 염석진 혹은 ‘신세계’의 이자성처럼 선택의 질문을 스스로에게 계속해서 던진다. 앞선 두 캐릭터가 생존의 갈림길에서 선택의 강요를 받는다면 ‘밀정’의 이정출은 보다 내밀함이 느껴지는 지점이 있었을 것이란 짐작을 해봤다. 하지만 그의 선택 역시 비슷했다. 그거 살기 위한 선택이었다. 조금 다른 감정의 지점이라면 ‘밀정’이 처음부터 한쪽으로 치워버렸던 민족의식과 애국의 마음이 자의적이던 타의적이던 후반 이후 담겨 버리게 됐단 점이다.

이미지중앙
김지운 감독은 당초 ‘밀정’을 차가운 느낌의 느와르로 설정하고 출발했다. 하지만 영화를 만들수록 ‘뜨거워지는’ 감정을 느껴버렸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이중스파이 이정출은 너무도 빨리 선택을 한 느낌이 들었다. 결국 흐름이 예상대로 가고 말았다. 속이고 또 속이며 역으로 또 속는 스파이 장르와 느와르의 스타일리시함이 중반 이후 급격하게 실종된다.

‘밀정’은 제목 자체가 주는 이중적 소재의 혼란이 관객들에게 전달되고 그 혼란 속에서 선택의 질문을 관객들이 자신에게 던져볼 기회를 갖고 달려야 하지 않았을까.

이미지중앙
영화 전체가 담은 건조한 느낌의 시선과 캐릭터들이 느끼는 격랑의 흐름 속 선택의 지점에만 집중하고 본다면 꽤 묵직한 느낌의 스토리다. 하지만 김지운 감독 스스로가 왜 차가움을 유지하다가 결국 뜨거움을 느끼게 됐는지는 사실 영화가 끝난 뒤에도 알 수 없는 궁금증으로 남아 버렸다. 개봉은 오는 7일.



cultur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